티스토리 뷰
1. 기본 개념
1) 지대와 지가
① 지대: 일정 기간 토지를 사용한 대가. 즉, 임대료로서 유량(flow)이다.
② 지가: 일정 시점 토지의 교환 대가. 즉, 매매 가격으로서 저량(stock)이다.
③ 지가는 장래에 무한히 수령하게 될 지대를 이자율로 할인한 가치의 합계이다. 따라서 수학의 무한등비급수 공식을 적용하면 아래와 같다.
지가 = 지대 / 이자율 |
2) 지대이론
① 전용수입(Transfer Earning)
전용수입이란 특정한 생산요소가 다른 용도로 전용(변경)되지 않고 현재 용도로 계속 사용되게 하기 위해 지급하는 최소 금액이다. 다시 말해, 전용수입은 일종의 기회비용 또는 정상이윤이다. 따라서 지대를 전용수입으로 볼 경우 초과이윤이 존재하지 않는다.
지대 = 전용수입 --> 초과이윤 = 0 |
② 경제지대(Economic Rent)
파레토의 이론으로서 지대를 토지에서 발생하는 초과이윤, 즉 일종의 공급자 잉여로 본다. 따라서 지대는 총수입과 전용수입의 차이로 본다. 경제지대는 공급이 완전비탄력적이면 최대 금액이 되고, 공급이 완전탄력적이면 최소 금액이 된다. 다시 말해, 지대는 토지의 대체성이 낮으면 최대, 높으면 최고가 된다.
경제지대 = 총수입 - 전용수입 |
③ 준지대(Quasi-rent)
마샬이 제안한 개념이다. 준지대는 기계 등 자본적 설비에서 단기적으로 발생하는 초과이윤으로서 장기적으로는 소멸한다.
2. 지대결정이론
차액지대설 (리카도) |
절대지대설 (마르크스) |
위치지대설 (튀넨) |
입찰지대설 (알론소) |
토지 비옥도 차이가 지대 결정 수확체감의 법칙 적용 한계지의 지대 = 0 지대를 불로소득(잉여)으로 봄 |
토지 소유권 자체가 지대 창출 한계지에서도 지대 존재 지대를 생산원가로 봄 곡물가격 결정 |
시장과의 거리가 중요 운송비가 지대 결정 지대는 운송비에 반비례 최초의 입지이론 |
일종의 경매입찰가로 간주 최대지불금액이 지대 결정 기울기 = 한계교통비/토지사용량 초과이유 없음 |
1) 차액지대설
리카도(Ricardo)의 이론으로서 생산요소인 비옥한 토지에 대해 수확체감의 법칙을 전제하는 이론이다. 토지의 비옥도는 곡물 생산량을 결정하기 때문에 비옥도가 높을수록 지대도 높다고 보았다. 곡물의 판매가격과 생산원가가 같은 최열등지(한계지)의 지대는 0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토지의 비옥도가 높아지면, 판매가격과 생산비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를 지대로 보았다. 토지의 지리적 위치를 고려하지 않는 한계가 있다.
차액지대 = 판매수익 - 생산비 |
(암기법) 리카도의 영국식 이름은 리차드(Richard)이다. (리)(차)드: (리)카도는 (차)액지대설
2) 절대지대설
마르크스의 이론으로서 희소한 생산요소인 토지의 소유권가 독점적 지위에 근거하여 요구되는 대가로 보았다. 지대는 토지에 대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기 때문에 발생하며 토지의 비옥도와 무관하다. 지대는 심지어 최열등지(한계지)에서도 발생하는 일종의 생산비이다.
(암기법) 마르크스는 막스라고도 부른다. (절)대적으로 (막) 줘야 하는 지대: (절)대지대설은 (막)스
3) 위치지대설 (튀넨)
튀넨의 이론으로서 리카도의 차액지대론에 지리적 위치 개념을 도입하였다. 시장(도심)과 생산지(토지) 간 거리가 멀면 접근성이 떨어지고 수송비가 증가한다. 따라서 토지가 도심과 가까우면 지대가 높고, 멀면 지대가 낮다. 수송비가 너무 높아서 더 이상 경제성이 존재하지 않는 토지, 즉 조방한계점에 이르면 지대는 0이 된다.
튀넨은 외부와 유통이 없는 고립국을 가정하여 이론을 전개하였다(고립국이론). 도심을 중심으로 6개 동심원으로 지리적 위치를 나누었다. 알론소의 입찰지대설, 버제스의 동심원이론, 기타 입지이론의 효시가 되었다.
위치지대 = 판매가격 - 생산비 - 운송비 |
(암기법) 튀넨에서 뛰네를 연상한다. 도심 가까이에 (위)치하니 지대가 (뛰)네: (위)치지대설은 (뛰)넨
4) 입찰지대설(알론소)
알론소의 이론으로서 튀넨의 위치지대설에 토지의 잠재적 수요자 간 경쟁입찰(경매) 개념을 도입한다. 지대를 토지 이용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최대 금액으로 보았다. 토지가 도심에 가까울수록 운송비가 절감되기 때문에 더 높은 지대를 지불할 이유를 가진다. 도심에서 먼 거리에 위치한 토지일수록 한계운송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잠재적 수요자들이 지불하고자 하는 지대는 낮아진다.
일차지대곡선의 기울기 = 한계운송비 / 토지 사용량 |
(암기법) '(알)짜배기 땅은 최고가 (입)찰'을 연상한다. (알)론소는 (입)찰지대설
5) 마찰비용이론
헤이그의 이론으로서 지대를 운송비 절약금액으로 보았다. 지대와 운송비의 합은 공간마찰비용이며 도심에서 멀수록 운송비가 증가한다. 따라서 공간마찰비용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운송비와 지대가 반비례해야 한다. 한편, 교통이 발달할수록 공간마찰비용은 감소한다.
공간마찰비용 = 지대 + 운송비 --> 지대 = 공간마찰비용 - 운송비 |
(암기법) '브레이크 밟으니 (마)찰음이 (헤)이그'를 연상한다. (마)찰비용이론은 (헤)이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