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기출문제]
제19회 기출문제
1. 주거분리와 주택의 여과과정(filtering process) 이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고소득층 주거지역에서 주택의 보수를 통한 가치상승분이 보수비용보다 적다면 하향여과가 발생할 수 있다.
② 주거분리는 주택 소비자가 정(+)의 외부효과 편익은 추구하려 하고, 부(-)의 외부효과 피해는 피하려는 동기에서 비롯된다.
③ 저소득층 주거지역에서 주택의 보수를 통한 가치상승분이 보수비용보다 크다면 상향여과가 발생할 수 잇다.
④ 고소득층 주거지역과 인접한 저소득층 주택은 할증료( premiun)가 붙어 거래되며, 저소득층 주거지역과 인접한 고소득층 주택은 할인되어 거래될 것이다.
⑤ 고소득층 주거지역으로 저소득층이 들어오게 되어 상향여과과정이 계속되면, 고속득층 주거지역은 점차 저소득층 주거지역으로 바뀔 것이다.
제20회 기출문제
2. 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차액지대설에서는 토지 비옥도가 지대를 결정하게 되며, 수확체감의 법칙을 전제한다.
② 절대지대설에 따르면 토지 소유자는 최열등지에 대해서는 지대를 요구할 수 없다.
③ 튀넨(Thunen)의 입자이론에 따르면 토지의 비옥도가 동일하더라도 위치에 따라 지대의 차이가 날 수 있다.
④ 입찰지대설에서는 가장 높은 지대를 지불할 의사가 있는 용도에 따라 토지이용이 이루어진다.
⑤ 차액지대설에 따르면 생산물의 가격과 생산비가 일치하는 한계지에서는 지대가 발생하지 않는다.
제21회 기출문제
3. 주택의 여과과정이론과 주거분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주택의 상향여과는 상위소득계층이 사용하던 기존주택이 하위소득계층의 사용으로 전환되는 것을 말한다.
② 주거분리는 도시 전체뿐만 아니라 지리적으로 인접한 근린지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③ 주거분리는 도시 내에서 소득계층이 분화되어 거주하는 현상을 말한다.
④ 침입과 천이현상으로 인해 주거입지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⑤ 공가(空家)의 발생은 주택여과과정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제23회 기출문제
4. 주택의 여과과정(filtering process)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주택의 여과과정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주택의 질과 주택에 거주하는 가구의 소득이 변호함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이다.
② 개인은 주어진 소득이라는 제약조건하에 최대의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주택서비스를 소비한다.
③ 주택의 상향여과는 낙후된 주거지역이 재개발되어 상위계층이 유입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④ 주택의 하향여과는 소득증가로 인해 저가주택의 수요가 감소되었을 때 나타난다.
⑤ 주택의 여과과정이 원활하게 작동하는 주택시장에서 주택여과효과가 긍정적으로 작동하면 주거의 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제27회 기출문제
5. 주거분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고소득층 주거지와 저소득층 주거지가 서로 분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② 고소득층 주거지와 저소득층 주거지가 인접한 경우, 경계지역 부근의 저소득층 주택은 할인되어 거래되고 고소득층 주택은 할증되어 거래된다.
③ 저소득층은 다른 요인이 동일한 경우 정(+)의 외부효과를 누리고자 고소득층 주거지에 가까이 거주하려 한다.
④ 고소득층 주거지와 저소득층 주거지가 인접한 지역에서는 침입과 천이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⑤ 도시 전체에서 뿐만 아니라 지리적으로 인접한 근린지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제24회 기출문제
6. 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리카도(D. Ricardo)는 비옥도의 차이, 비옥한 토지량의 제한, 수확체감 법칙의 작동을 지대발생의 원인으로 보았다.
② 위치지대설에 따르면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 지대는 중심지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하락한다.
③ 절대지대설에 따르면 토지의 소유자체가 지대의 발생요인이다.
④ 입찰지대설에 따르면 토지이용은 최고의 지대지불의사가 있는 용도에 할당된다.
⑤ 차액지대설에 따르면 지대는 경제적 잉여가 아니고 생산비이다.
제26회 기출문제
7.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해리스(C. Harris)와 울만(E. Ulman)의 다핵이론에서는 상호 편익을 가져다주는 활동(들)의 집적지향성(집적이익)을 다핵입지 발생요인 중 하나로 본다.
② 알론소(W. Alonso)이 입찰지대곡선은 여러 개의 지대곡선 중 가장 높은 부분을 연결한 포락선이다.
③ 헤이그(R. Haig)의 마찰비용이론에서는 교통비와 지대를 마찰비용으로 본다.
④ 리카도(D. Ricardo)의 차액지대설에서는 지대발생원인을 농토의 비옥도에 따른 농작물의 수확량의 차이로 파악한다.
⑤ 마샬(A. Marshall)은 일시적으로 토지의 성격을 가지는 기계, 기구 등의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를 파레토지대로 정의하였다.
제27회 기출문제
8. 다음의 내용을 모두 설명하는 지대는?
| 지대는 토지소유자가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는 독점적 지위때문에 받는 수입이므로 최열등지에서도 발생한 지대란 토지의 비옥도나 생산력에 관계없이 발생함 지대는 토지의 사유화로 인해 발생함 |
① 마샬(A. Marshall)의 준지대
② 리카도(D. Ricardo)의 차액지대
③ 알론소(W. Alonso)의 입찰지대
④ 튀넨(J.H. von Thunen)의 위치지대
⑤ 마르크스(K. Marx)의 절대지대
[정답]
제19회 기출문제
1. 주거분리와 주택의 여과과정(filtering process) 이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⑤ 고소득층 주거지역으로 저소득층이 들어오게 되어 상향여과과정이 계속되면, 고속득층 주거지역은 점차 저소득층 주거지역으로 바뀔 것이다.
정답 ⑤
하향여과가 계속되면 고속득층 주거지역은 점차 저소득층 주거지역으로 바뀐다.
제20회 기출문제
2. 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② 절대지대설에 따르면 토지 소유자는 최열등지에 대해서는 지대를 요구할 수 없다.
정답 ②
마르크스의 절대지대설에 따르면 최열등지(한계지)에서도 지대를 요구할 수 있다.
제21회 기출문제
3. 주택의 여과과정이론과 주거분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주택의 상향여과는 상위소득계층이 사용하던 기존주택이 하위소득계층의 사용으로 전환되는 것을 말한다.
정답 ①
하향여과이다. 주택이 고소득층에서 저소득층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제23회 기출문제
4. 주택의 여과과정(filtering process)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④ 주택의 하향여과는 소득증가로 인해 저가주택의 수요가 감소되었을 때 나타난다.
정답 ④
하향여과는 소득감소로 인해 저가주택의 수요가 증가했을 때 나타난다.
제27회 기출문제
5. 주거분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
② 고소득층 주거지와 저소득층 주거지가 인접한 경우, 경계지역 부근의 저소득층 주택은 할인되어 거래되고 고소득층 주택은 할증되어 거래된다.
정답 ②
고소득층 주거지와 저소득층 주거지가 인접해 있는 경계지역의 저소득층 주택은 할증, 고소득층 주택은 할인 거래된다.
제24회 기출문제
6. 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리카도(D. Ricardo)는 비옥도의 차이, 비옥한 토지량의 제한, 수확체감 법칙의 작동을 지대발생의 원인으로 보았다.
② 위치지대설에 따르면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 지대는 중심지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하락한다.
③ 절대지대설에 따르면 토지의 소유자체가 지대의 발생요인이다.
④ 입찰지대설에 따르면 토지이용은 최고의 지대지불의사가 있는 용도에 할당된다.
⑤ 차액지대설에 따르면 지대는 경제적 잉여가 아니고 생산비이다.
정답 ⑤
리카도의 차액지대설에서 지대는 경제적 잉여로 본다.
마르크스의 절대지대설에서 지대는 생산비로 본다.
제26회 기출문제
7.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⑤ 마샬(A. Marshall)은 일시적으로 토지의 성격을 가지는 기계, 기구 등의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를 파레토지대로 정의하였다.
정답 ⑤
일시적으로 토지의 성격을 가지는 기계, 기구 등의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는 준지대(quasi-rent)이다.
제27회 기출문제
8. 다음의 내용을 모두 설명하는 지대는?
| 지대는 토지소유자가 토지를 소유하고 있다는 독점적 지위 때문에 받는 수입이므로 최열등지에서도 발생한다. 지대란 토지의 비옥도나 생산력에 관계없이 발생한다. 지대는 토지의 사유화로 인해 발생한다. |
⑤ 마르크스(K. Marx)의 절대지대
정답 ⑤
절대지대설에 대한 설명이다.